-
주산지조회 수: 129, 2020.06.27 03:07:10
-
라이트룸 클래식 9.3 릴리즈(2020.06)
라이트룸 매거진 _ 주산지
지난 6월 16일에 라이트룸 클래식 9.3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새로운 버전이 릴리즈 되면 이번에는 어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는지 궁금하죠. 주산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학교 강의가 연기되고, 온라인으로 준비를 하다보니 종강할 때까지 새로운 버전을 실행볼 여유가 없었습니다. 또한, 종강에 맞춰 시스템도 새로 장만했기 때문에 세팅하느라 이제서야 들여다 봅니다.
이번 9.3 릴리즈에 새로 추가된 기능과 향상된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로컬 색조 조정
사진 중심을 기준으로 자르기
ISO 적응형 사전 설정
새로운 기본값 사전 설정
개선 및 향상된 사항
- UI 개선
- 여러 일괄 내보내기 업데이트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 RAW 파일 기본값 업데이트
- 카탈로그 백업 업데이트
- TIFF 파일 압축
- 페이스북 컬렉션 마이그레이션
- [통람 보기] 화면의 업데이트
- 성능 개선
새로 추가된 카메라와 렌즈
| 로컬 색조 조정
이번 라이트룸 클래식 9.3 릴리즈의 핵심 기능은 로컬 색조(hue) 조정입니다. 색조 조정은 [HSL], [컬러] 패널에서 특정 색의 색조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진 전체에 적용되는 글로벌(전역) 보정입니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로컬(지역) 보정입니다. 따라서 [점진적 필터], [방사형 필터], [조정 브러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보정 전후 사진을 보시면 어떤 기능인지 금방 이해하실 것입니다.
위 사진에 관해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HSL] 패널에서 노란색에 대한 색조 보정을 하면 노란색 꽃 두 송이 색이 모두 변합니다. 또한, 초록색에 포함된 노란색도 변합니다. 그러나 로컬 보정 도구로 꽃 한 송이에 대한 영역을 설정하고 색조를 조정하면 위 사진처럼 보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조정 브러시] 도구로 꽃 한 송이만 브러싱합니다. 꽃 한 송이만 정확하게 브러싱하기 위해 [자동 마스크] 옵션을 설정하고 브러싱합니다. [조정 브러시] 확장 패널에서 [색조] 슬라이드를 조절합니다.
두 번째, [방사형 필터] 도구로 꽃 중심을 클릭하고 꽃 크기보다 약간 크게 필터를 만듭니다. 필터 영역을 설정한 후, [반전] 옵션을 선택합니다. [방사형 필터] 확장 패널에서 [범위 마스크]를 [색상]으로 설정하고 [색상 범위 선택기(스포이트)]를 사용해 노란색 꽃을 클릭합니다. 즉, 노란색의 색조만 조정하겠다는 것이죠. 그리고 [ 색조] 슬라이드를 조정합니다. 방사형 필터 안쪽 노란색 꽃에만 색조가 적용됩니다.
다음 화면은 새로 추가된 로컬 보정 도구의 [색조] 슬라이드입니다. 이 슬라이드는 [점진적 필터], [방사형 필터], [조정 브러시] 도구의 확장 패널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① 색조 슬라이드 : [색조] 슬라이드는 두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위쪽은 [참조] 슬라이드로 설정할 색을, 아래쪽은 [색조] 슬라이드로 원래 색을 나타냅니다. 로컬 보정 도구로 영역을 지정하면 슬라이드의 색의 배열이 바뀝니다. 슬라이드의 중심 색은 선택한 영역의 색을 기반으로 합니다. 슬라이드를 조절하면 선택 영역의 색이 변경되는데, [색조] 슬라이드의 레버가 자리 잡고 있는 색(슬라이드 중심 색)에서 레버가 가리키는 [참조] 슬라이드 색으로 변경됩니다.
② 미세 조정 사용 : 세밀하게 조절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해 활성화합니다. 슬라이드가 미세하게 조절됩니다.
| 사진 중심을 기준으로 자르기
라이트룸에는 사진을 자르기 위해 [자르기 안내선]이 사진에 표시됩니다. 기본으로 설정된 안내선은 다음 화면과 같은 [3X3]입니다.
이 외에도 [격자], [대각선], [삼각형], [황금비], [황금 나선], [종횡비]가 더 있습니다. 이러한 안내선은 자른 사진에서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릴리즈에서는 다음 화면의 메뉴에서 보듯이 [중앙] 안내선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중앙] 안내선은 2X2의 격자로 사진의 중심을 설정해 자를 때 때 유용합니다.
특히, 인스타그램에서 사용되는 정방형 사진의 중심에 피사체를 배치할 때 자른 사진의 중심을 미리 볼 수 있어 정확히 자를 수 있습니다.
| ISO 적응형 사전 설정
특정 사진의 현상 설정값을 다른 사진에 적용하기 위해 저장한 것을 현상 사전 설정(Develop Presets)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전 설정] 또는 [프리셋]이라고 합니다. 이번 릴리즈에는 사전 설정을 저장할 때 ISO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ISO에 대해 다른 값을 적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ISO 800인 사진에 적용된 광도 노이즈 값이 저장된 사전 설정을 ISO 100 이미지에 적용하면 엉뚱한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SO 100인 사진과 800인 사진 두 장을 선택해 사전 설정을 만들면 ISO에 따라 적정한 값을 계산해 적용합니다.
다음 화면처럼 [새 현상 사전 설정] 대화상자 하단에 [ISO 설정]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ISO 적응형 사전 설정을 만들려면 이 항목을 선택합니다.
선택한 사진이 한 장이거나, ISO 값이 같은 사진을 선택했을 때에는 [ISO 설정] 항목이 비활성화됩니다.
| 새로운 기본값 사전 설정 추가
이번 릴리즈에는 다음 화면처럼 [기본값] 사전 설정 항목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기본값] 항목에는 10개의 새로운 사전 설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dobe 기본값]은 JPEG, RAW 파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나머지 9개 사전 설정은 RAW 파일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가져올 때 일괄 적용하려면 해당 사전 설정을 우클릭해 표시되는 메뉴에서 [가져오기 시 적용] 메뉴를 선택합니다.
사진을 가져올 때 적용되는 사전 설정은 다음 화면처럼 해당 항목 우측에 [+]가 표시됩니다.
또한, [가져오기] 대화상자에서 [가져오는 동안 적용] 패널의 [현상 설정] 항목에도 지정됩니다.
| 개선 및 향상된 사항
이번 릴리스에서는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라이브러리 모듈에서 [격자 보기] 화면의 스크롤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키보드, 마우스, 트랙패드, 터치로 스크롤 할 수 있다고 하는데, 키보드의 방향키와 마우스 휠로 스크롤하는 것은 예전부터 되었던 것인데, 맥의 매직 마우스에서는 안 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트랙패드 역시 맥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니, 맥을 위한 환경이 개선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맥의 라이트룸을 업데이트하여 이를 확인해볼 수가 없네요. 윈도우에서 [Ctrl]를 누르면 사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맥에서는 여전히 되지 않습니다.
UI 개선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곳은 세 곳입니다. 한 가지씩 알아보겠습니다.
동기화 메뉴의 이동
[식별판]에 있던 동기화 메뉴가 모듈 메뉴 우측으로 이동했습니다. 구름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클라우드 상태를 표시해주는 창이 표시됩니다. 클라우드 사용량과 접속 여부가 표시됩니다.
[톤 곡선] 패널의 UI 변경
[톤 곡선] 패널이 다음 화면처럼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 [영역] 섹션 아래에 있던 점 곡선 메뉴 버튼을 시각화해 상단에 나열해 더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① 매개 변수 곡선 편집
② 점 곡선 편집
③ Red 채널 곡선 편집
④ Green 채널 곡선 편집
⑤ Blue 채널 곡선 편집
점 곡선 편집의 경우 곡선을 드래그하여 조정하는 방식 외에 그래프 아래쪽에 [입력]과 [출력]에 값을 입력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컬러] 패널 UI의 변경
크게 UI 변경이라 할 것까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기존의 텍스트로 색상 이름이 표시되던 것을 시각화한 것입니다.
여러 일괄 내보내기 업데이트
사진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저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웹에서 사용되는 사진과 인화할 사진이 그렇습니다. 또한, 웹에서 사용하는 사진이라도 최적화 사이즈가 다르므로 사진을 업로드 할 웹사이트 별로 다르게 저장해야 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하나의 사진을 여러 목적에 맞게 저장하는 것은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리 만들어 놓은 내보내기 사전 설정이 있다면 라이트룸에서 일괄 내보내기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미리 만들어 놓은 사전 설정에서 기본적인 파일 형식, 색공간, 사이즈 등만 설정하고 저장 위치나 파일명 등을 설정하지 않으면 모두 한 폴더에 저장됩니다. 또한, 저장할 파일명이 같으면 다른 파일명으로 대치됩니다. 이렇게 저장하면 나중에 어떤 용도에 사용될 사진인지 구분하기 어렵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진을 사전 설정으로 일괄 내보낼 때 [일괄 내보내기] 대화상자가 표시됩니다. 이 대화상자에서는 내보내기 사전 설정에 따라 사진이 저장될 경로와 파일명 등을 각각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화면은 [일괄 내보내기] 대화상자입니다.
주산지의 경우에는 내보내기 사전 설정을 파일에 따라 이름을 달리해 한 폴더에 내보내도록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이 대화상자는 무의미합니다. 즉, 사진이 저장된 폴더의 파일명만 보면 어떤 용도로 사용될 파일인지 구분이 됩니다. 만일 파일명을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일괄 내보내기] 대화상자 상단에 있는 [상위 폴더 선택] 옵션을 선택해 폴더를 지정하고, 파일에 따라 하위 폴더를 각각 따로 설정해 저장하거나, 파일명을 ‘사용자 정의 텍스트 + 시퀀스’ 형식으로 설정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라이브러리] 모듈의 [메타데이터] 패널에 [3차원적 투영]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RAW 파일 기본값 업데이트
[현상] 모듈의 [사전 설정] 패널에 [기본값] 사전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것을 앞서 살펴보았습니다. 이 기본값을 RAW 파일에 대한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 대화상자의 [사전 설정 > RAW 기본값]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카탈로그 백업 업데이트
카탈로그 백업 시 지정된 백업 경로가 없는 경우 카탈로그 폴더의 [Backup] 폴더에 파일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로를 지정하려면 [백업 폴더] 항목에서 [선택] 버튼을 클릭해 새로운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기본 백업 폴더는 카탈로그 폴더 하위의 [Backup] 폴더입니다. 사용자는 백업 폴더를 다른 경로나 저장 장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일 네트워크, 외장 하드, USB 메모리 등을 지정했을 경우 해당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TIFF 파일 압축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던 부분인데, 그동안 포토샵 연동 시 TIFF 파일을 압축하면 포토샵에서 제대로 작업할 수 없었던 모양입니다. 주산지는 화질을 위해 압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이 있었는지 몰랐습니다.
포토샵과 연동해 작업할 때, 포토샵에 전송하는 파일에 대한 설정은 다음 화면처럼 [환경 설정] 대화상자의 [외부 편집] 탭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항목 중에 [압축]이 있습니다. 이 옵션을 [ZIP]으로 설정하면 포토샵과 연동 작업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이번 릴리즈에서 해결되었습니다. 따라서 TIFF를 압축해 포토샵과 연동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Photoshop에서 편집
- Photoshop에서 스마트 오브젝트로 열기
- Photoshop에서 파노라마에 병합
- Photoshop에서 HDR에 병합
- Photoshop에서 레이어로 열기
페이스북 컬렉션 마이그레이션
이번 릴리즈에서는 다음 화면에서 보듯이 [게시 서비스]에서 [페이스북]이 완전히 빠졌습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게시 서비스] 패널에 [페이스북] 항목이 있었지만, 페이스북 게시 서비스는 지원이 멈춰 신규 설정을 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 버전부터는 아예 [페이스북] 항목 자체를 빼버려 더는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다만 기존에 [페이스북] 게시 서비스를 통해 분류된 사진은 컬렉션 세트와 컬렉션을 자동 이동된다는 메시지가 다음 화면처럼 라이트룸 실행 초기에 표시됩니다.
[통람 보기] 화면의 업데이트
[현상] 모듈의 [통람 보기] 보기 화면에 작은 변화가 있습니다. [통람 보기] 화면은 여러 장의 사진을 선택해 서로 비교하며 셀렉션할 때 사용하는 화면 보기입니다.
다음 화면처럼 사진 아래에 [특성]이 표시됩니다. 이번 릴리즈에서는 [통람 보기]에 표시되는 [특성] 표시가 배경의 밝기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기본 배경
흰색 배경
어두운 배경
[통람 보기]에서 배경의 밝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추가로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통람 보기] 화면에서 사진을 제외한 배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표시되는 메뉴에서 배경의 밝기를 선택합니다.
| 새로 추가된 카메라와 렌즈
전체 지원되는 카메라 목록을 보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전체 지원되는 렌즈 목록을 보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이상으로 라이트룸 9.3 릴리즈에 대한 소개를 마칩니다.
ⓒ 2020 Written by Jusanj. All rights reserved.
* 본 문서는 주산지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주산지와의 협의 없이 무단으로 일부 및 전체를 복사, 인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내용으로 2차적인 강의를 하실 수 없습니다.
Today 0,
Yesterday 0,
Total 35
|
|||||||
---|---|---|---|---|---|---|---|
![]()
2020-11-06 16:13:51
Nov.06 ![]()
2020-08-22 17:55:17
Aug.22 ![]()
2020-06-27 03:07:10
Jun.27 ![]()
2020-04-21 11:14:36
Apr.21 ![]()
2020-02-16 23:39:33
Feb.16 ![]()
2019-12-16 00:22:15
Dec.16 ![]()
2019-11-20 01:16:02
Nov.20 ![]()
2019-08-17 23:49:10
Aug.17 ![]()
2019-05-26 01:30:22
May.26 ![]()
2019-05-24 16:46:23
May.24 |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따라해 봐야겠습니다.
자세히 알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