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산지조회 수: 73, 2019.07.01 07:08:11
-
Part 4. 디지털 현상하기, Chapter 03. 톤 보정
Section 04. 톤 보정 - 히스토그램에서 지관적인 톤 보정
히스토그램에서 직관적인 톤 보정
앞서 자동 톤 보정에서 히스토그램이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톤 보정하는 방법 중에 [히스토그램] 패널에서 톤 보정을 직관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 화면처럼 히스토그램 위로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놓으면 포인터의 모양이 좌우 화살표(↔)로 변경됩니다. 이는 마우스를 클릭한 채로 좌우로 드래그하란 의미입니다. 마우스 포인터를 좌우로 드래그하면 그래프가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톤 조절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놓는 영역에 따라 톤 조절의 범위가 달라집니다. 톤이 조절되는 영역은 옅게 표시되고 히스토그램 왼쪽 아래에 해당 톤 영역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히스토그램에서 영역별로 톤을 조절하면 [기본] 패널의 [톤] 섹션에서 해당 영역의 슬라이더도 같이 움직입니다.
검정 계열 영역
어두운 영역
노출 영역
밝은 영역
흰색 계열 영역
주산지 따라하기- 히스토그램을 드래그하여 톤을 보정하자.
01. 다음 화면처럼 보정할 사진(_MG_0634)을 [현상] 모듈에 표시합니다. 프로파일을 [카메라 표준]으로 선택하고 [흰색 균형]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빨간 단풍잎이 밝은 배경 때문에 어둡게 찍혔습니다. 만일 단풍잎을 기준노출로 설정해 촬영했다면 배경은 하얗게 클리핑 되었을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배경을 기준노출로 촬영하고 어두운 영역을 밝게 보정합니다.
02. 먼저 단풍잎의 톤 영역을 알아보겠습니다. 마우스 포인터를 단풍잎 위에 올리고 히스토그램 하단의 RGB %를 확인합니다. Red가 18.1%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빨간색의 톤은 [어두운 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3. [히스토그램] 패널의 [어두운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놓습니다.
04. [어두운 영역] 톤 영역을 클릭한 채로 오른쪽으로 드래그합니다. 단풍잎이 밝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빨간색 그래프의 피크가 [어두운 영역]과 [노출] 영역에 걸쳐질 때 마우스 버튼을 놓습니다. [기본] 패널의 [톤] 섹션의 [어두운 영역] 슬라이더도 오른쪽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5. 이번에는 배경의 톤을 조금 밝게 해보겠습니다. 마우스 포인터를 [히스토그램]의 [흰색 계열] 톤 영역에 올려놓습니다.
06. [흰색 계열] 톤 영역을 클릭한 채로 오른쪽으로 드래그합니다. 그래프가 [히스토그램] 우측 측면에 거의 닿을 때 마우스 버튼을 놓습니다.
Version History
2019.07.01 포스팅
번호
|
분류
|
제목
|
닉네임
| ||
---|---|---|---|---|---|
15 | 03. 톤 보정 | 주산지 | 92 | 2019.06.25 | |
14 | 03. 톤 보정 | 주산지 | 105 | 2019.06.25 | |
13 | 03. 톤 보정 | 주산지 | 117 | 2019.06.25 | |
12 | 03. 톤 보정 | 주산지 | 100 | 2019.06.25 | |
11 | 03. 톤 보정 | 주산지 | 90 | 2019.06.25 | |
10 | 03. 톤 보정 | 주산지 | 98 | 2019.06.25 | |
9 | 03. 톤 보정 | 주산지 | 58 | 2019.07.01 | |
√ | 03. 톤 보정 | 주산지 | 73 | 2019.07.01 | |
7 | 03. 톤 보정 | 주산지 | 58 | 2019.07.01 | |
6 | 03. 톤 보정 | 주산지 | 93 | 2019.07.01 | |
5 | 03. 톤 보정 | 주산지 | 80 | 2019.07.08 | |
4 | 03. 톤 보정 | 주산지 | 83 | 2019.07.08 | |
3 | 03. 톤 보정 | 주산지 | 34 | 2019.07.22 | |
2 | 03. 톤 보정 | 주산지 | 47 | 2019.07.22 | |
1 | 03. 톤 보정 | 주산지 | 52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