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산지조회 수: 99, 2020.05.01 19:54:15
-
Part 5. 내보내기, Chapter 02. 내보내기
Scetion 02. 내보내기
- 내보내기 대화상자의 옵셥 설정 -
자, 이제 [내보내기] 옵션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내보내기] 옵션은 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보내기 플러그인]을 추가했다면 옵션 항목이 더 늘어납니다.
| 내보내기 위치
내보낼 사진이 저장될 위치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내보낼 사진이 저장될 폴더를 지정하고 카탈로그에 추가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저장될 폴더에 같은 파일명을 가진 사진이 있는 경우 처리할 방법도 설정합니다.
① 내보낼 위치
[내보낼 위치]는 사진이 저장될 위치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특정 폴더], [원본 사진과 같은 폴더], [나중에 폴더 선택(사전 설정에 유용)]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특정 폴더]는 사용자가 직접 내보낼 사진의 폴더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지정한 폴더 하위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고 내보낸 사진을 카탈로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원본 사진과 같은 폴더]는 원본 사진이 저장된 [대상 폴더]에 내보낼 사진을 저장합니다. 역시 하위 폴더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고 카탈로그와 스택에도 추가할 수 있지만, 하위 폴더를 만들 경우에만 스택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 [나중에 폴더 선택(사전 설정에 유용)]은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될 폴더를 묻는 대화상자를 표시합니다. [내보내기] 옵션 설정을 사전 설정으로 저장해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하위 폴더와 스택을 만들 수 없고, 내보낸 사진만 카탈로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② 하위 폴더에 넣기
[내보낼 위치]에서 설정한 폴더 하위에 새로운 폴더를 생성합니다. [내보낼 위치]를 [특정 폴더], [원본 사진과 같은 폴더]로 설정한 경우에만 해당 폴더 하위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위 폴더에 넣기] 항목을 체크하고 우측 입력란에 폴더 이름을 입력해 하위 폴더를 설정합니다.
③ 이 카탈로그에 추가
내보낸 사진을 현재 카탈로그에 자동으로 추가합니다. 내보낸 사진을 라이트룸에서 관리하려면 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스택에 추가
내보낸 사진을 원본 사진과 함께 스택으로 그룹화해 관리합니다. 스택은 원본, 가상본, 보정본, 내보낸 사진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보낼 위치]가 [원본 사진과 같은 폴더]인 경우에만 스택으로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⑤ 기존 파일
내보낼 사진이 저장될 곳에 같은 파일명의 사진이 이미 있다면 내보낼 사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수행할 작업 확인]은 [내보낼 위치]에 같은 파일명이 있으면 사진이 저장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파일 내보내기 문제] 대화상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대화상자 아래에 [덮어씌기], [건너뛰기], [취소], [고유한 이름 사용] 버튼으로 수행할 작업을 선택합니다.
[내보낸 파일의 새 이름 선택]은 [내보낼 위치]에 같은 파일명이 있으면 파일명에 시퀀스을 붙여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경고 없이 덮어쓰기]는 기존 파일에 덮어쓰며, [건너뛰기]는 내보낼 사진을 저장하지 않습니다.
| 파일 이름 설정
내보낼 사진의 파일 이름을 설정합니다. 파일 이름은 되도록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굳이 변경해야 한다면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 바꿀 이름
파일 이름을 변경하려면 [바꿀 이름] 항목을 체크하고 우측 드롭다운 메ㅔ뉴를 클릭해 파일명 사전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사용자 정의 텍스트
[사용자 정의 텍스트]는 [사용자 정의 이름]이 들어간 사전 설정을 선택했을 경우 활성화됩니다. 활성화된 입력란에 사용자 정의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③ 시작 번호
[시작 번호]는 [시퀀스]가 들어간 사전 설정과 [사용자 정의 이름(x-y)] 사전 설정을 선택했을 경우 활성화됩니다. [시퀀스] 입력란에 시작 번호를 입력합니다.
④ 확장명
[확장명]은 파일의 확장자 대소문자를 설정합니다. 일부 운영체제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별하기 때문에 혼용을 방지하기 위해 되도록 한 가지로 통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소문자를 많이 사용합니다.
| 비디오
동영상 파일을 내보내는 경우 설정합니다. 내보낼 파일 중 동영상이 포함되지 않았다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① 비디오 포함
내보낼 파일이 동영상이거나 동영상이 포함된 경우, 함께 내보낼 때 이 옵션을 선택합니다.
② 비디오 형식
내보낼 동영상의 파일 형식을 선택합니다. [DPX], [h.264], [원본(편집하지 않은 파일)]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화질
비디오 형식 옵션에 따라 화질을 설정합니다. [DPX]를 선택한 경우에는 [1920X1080(FHD)] 크기로 저장되며 초당 재생 프레임 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h.264]로 선택한 경우에는 [1280X720(HD)] 크기로 저장되며 전송률로 화질을 설정합니다. 원본을 선택하면 원본 크기와 프레임 비율로 내보냅니다.
| 파일 설정
내보낼 사진의 이미지 파일 형식에 관련된 옵션을 설정합니다. [이미지 형식]은 사진의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합니다. 이미지 파일 형식에 따라 설정해야 할 옵션이 다르게 표시됩니다.
JPEG 파일 설정
JPEG 파일은 최종 결과물로 사진을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대부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사진과 인화용 사진에 적합합니다. [이미지 형식]을 [JPEG]로 선택하고 [품질], [색상 공간], [다음으로 크기 제한]을 설정합니다.
① 품질
최고의 화질을 위해 품질은 100으로 설정합니다. 품질을 100으로 설정하더라도 일부 웹 사이트에서는 품질을 재조정해 표시하기도 합니다. 인화용 사진은 100으로 설정해야 최상의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② 색상 공간
sRGB 설정합니다. sRGB는 표준 RGB 색상 공간입니다. 대부분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진을 sRGB 색상 공간으로 표시하므로 후보정한 사진의 색에 대한 왜곡이 거의 없습니다. 인화도 sRGB 색상 공간을 사용해 인화하므로 인화용 사진도 sRGB로 설정합니다.
③ 다음으로 파일 크기 제한
일부 웹 사이트에서는 업로드하는 사진의 용량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품질을 100으로 설정할 경우 파일의 용량이 커져 업로드 용량을 초과한다면 웹 사이트에서 제시하는 파일 제한 용량을 입력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단, 품질 사용자가 설정할 수 없고 자동으로 조정되는데 파일의 총해상도 클 경우, 제한 용량을 작게 설정하면 화질은 나빠지니 주의해야 합니다.
PSD 파일 설정
PSD 파일은 포토샵 전용 편집 파일로 라이트룸에서 현상한 사진을 포토샵에서 추가 작업을 해야 할 때 선택합니다.[이미지 형식]을 [PSD]로 선택하고 [색상 공간]과 [비트 심도]를 설정합니다.
① 색상 공간
원본 사진이 JPEG 파일이면 카메라에서 설정한 색상 공간과 같게 설정합니다. 카메라에서 Adobe RGB로 설정했다면 내보내기 시에도 [Adobe RGB]로 설정합니다. 그러나 원본 사진이 RAW 파일이면 최대 색상 공간인 [ProPhoto RGB]로 설정합니다. 이는 어도비의 권장 사항으로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② 비트 심도
원본 사진이 JPEG, sRGB로 촬영되었다면 [8비트/구성 요소]로 선택해도 됩니다. 그러나 RAW 파일이나 Adobe RGB 이상의 색공간으로 촬영된 사진은 [16비트/구성 요소]를 선택해야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TIFF 파일 설정
TIFF 파일은 인쇄나 출력을 위한 파일로 최종 결과물을 인쇄나 출력할 경우 선택합니다. [이미지 형식]을 [PSD]로 선택하고 [압축], [색상 공간], [비트 심도]를 설정합니다.
① 압축
[없음]을 선택하여 압축하지 않는 것이 최고의 화질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단, 저장된 사진 파일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집니다.
② 색상 공간
원본 사진이 JPEG 파일이면 카메라에서 설정한 색상 공간과 같게 설정합니다. 카메라에서 Adobe RGB로 설정했다면 내보내기 시에도 [Adobe RGB]로 설정합니다. 그러나 원본 사진이 RAW 파일이면 최대 색상 공간인 [ProPhoto RGB]로 설정합니다. 이는 어도비의 권장 사항으로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③ 비트 심도
원본 사진이 JPEG, sRGB로 촬영되었다면 [8비트/구성 요소]로 선택해도 됩니다. 그러나 RAW 파일이나 Adobe RGB 이상의 색공간으로 촬영된 사진은 [16비트/구성 요소]를 선택해야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NG 파일 설정
PNG 파일은 비손실 압축 그래픽 파일 형식으로 JPEG보다 화질은 좋으나 파일 용량은 상대적으로 큽니다. 웹에서 주로 사용되며 인화, 인쇄, 출력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미지 형식]을 [PNG]로 선택하면 [색상 공간]과 [비트 심도]를 설정합니다. 나중에 고화질의 재편집을 해야 한다면 PNG로 저장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JPEG 파일은 재편집하여 저장하면 할수록 화질 손실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① 색상 공간
원본 사진이 JPEG 파일이면 카메라에서 설정한 색상 공간과 같게 설정합니다. 카메라에서 Adobe RGB로 설정했다면 내보내기 시에도 [Adobe RGB]로 설정합니다. 그러나 원본 사진이 RAW 파일이면 최대 색상 공간인 [ProPhoto RGB]로 설정합니다. 이는 어도비의 권장 사항으로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② 비트 심도
원본 사진이 JPEG, sRGB로 촬영되었다면 [8비트/구성 요소]로 선택해도 됩니다. 그러나 RAW 파일이나 Adobe RGB 이상의 색공간으로 촬영된 사진은 [16비트/구성 요소]를 선택해야 색상의 세부묘사를 최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DNG 파일 설정
DNG 파일은 호환성 있는 RAW 파일입니다. DNG 파일을 지원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이 파일의 현상 내역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NG 파일로 저장된 사진을 포토샵에서 열면 ACR로 열리고, 현상 내역을 변경 및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형식]을 [DNG]로 선택하면 [호환성], [JPEG 미리보기], [빠른 로드 데이터], [손실 허용압축], [원본 raw 파일 포함]을 설정합니다.
① 호환성
가장 최근 Camera RAW 버전을 선택합니다.
② JPEG 미리보기
DNG 파일에는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이미지의 사이즈를 설정합니다.
③ 빠른 로드 데이터 포함
편집 시 빠르게 로드되도록 관련 데이터를 포함해 저장합니다.
④ 손실 허용 압축 사용
최상의 화질을 위해 이 옵션은 체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압축하면 파일의 용량은 줄어들지만, 화질이 떨어지는 요인이 됩니다.
⑤ 원본 RAW 파일 포함
보관용 DNG 파일로 저장하려면 원본 RAW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파일의 용량이 거의 두 배가 늘어납니다. DNG 파일에 포함된 원본 RAW 파일은 [DNG Converter]로 다시 추출할 수 있습니다.
원본
[이미지 형식]을 [원본]으로 선택하면 [대상 폴더]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 파일을 복사합니다. 현상된 사진이라도 원본 사진을 그대로 복사합니다. 따라서 설정할 옵션이 없습니다.
| 이미지 크기 조정
사진의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해상도 조정은 사진의 물리적인 크기인 가로와 세로의 픽셀을 조정하는 것으로 리사이즈(Resize)라고 합니다.
① 크기 조정하여 맞추기
내보낼 사진의 크기를 조정하려면 [크기 조정하여 맞추기] 옵션을 체크하고 우측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크기를 조절할 항목을 선택합니다.
[너비 및 높이]는 입력한 가로 및 세로 치수 중에 작은 값을 기준으로 원본 사진의 종횡비에 맞게 크기를 조정합니다. [치수]는 입력한 값 중에 작은 치수를 짧은 가장자리에 맞춰 원본 사진의 종횡비로 크기를 조정합니다. [긴 가장자리]와 [짧은 가장자리]는 입력한 값을 사진의 긴 가장자리와 짧은 가장자리에 맞춰 원본 사진의 종횡비로 크기를 조정합니다. [메가픽셀]은 입력한 해상도에 맞도록 원본 사진의 종횡비에 맞게 크기를 조정합니다. [백분율]은 입력한 퍼센트 비율로 원본 사진의 종횡비에 맞게 크기를 조정합니다.
* 파일 설정 옵션에서 이미지 형식을 DNG나 원본으로 설정했을 때는 이 옵션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확대 안함
입력한 치수가 원본 사진보다 클 경우,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원본 사진보다 크게 조정하면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③ 해상도
사용 목적에 맞게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사진은 96 PPI(Pixel per Inch, 인치당 픽셀)로 설정하고, 인화와 인쇄에 사용하는 사진은 업체에 문의해 DPI(Dot per Inch)를 설정합니다. 보통 인화는 150~200DPI를, 인쇄는 250DPI 이상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해상도에 어떠한 값을 입력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거나 인화 시 재보간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
② 확대 안함
입력한 치수가 원본 사진보다 클 경우,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원본 사진보다 크게 조정하면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③ 해상도
사용 목적에 맞게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사진은 96 PPI(Pixel per Inch, 인치당 픽셀)로 설정하고, 인화와 인쇄에 사용하는 사진은 업체에 문의해 DPI(Dot per Inch)를 설정합니다. 보통 인화는 150~200DPI를, 인쇄는 250DPI 이상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해상도에 어떠한 값을 입력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거나 인화 시 재보간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
| 출력 선명하게 하기
사진을 내보내면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지만, 사진의 사용 용도는 다양합니다. 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거나 인화를 하는데 이 옵션은 그러한 사진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선명도를 조정합니다.
① 선명하게 하기
미디어의 타입에 맞게 선명도를 설정하려면 먼저 [선명하게 하기]를 체크합니다.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진을 표시할 경우 선택합니다. 모니터, TV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매트 용지]는 무광 인화지를 의미하고, [광택 용지]는 유광 인화지를 의미합니다. 인화할 사진이면 어떤 인화지를 사용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고 이에 맞는 출력 선명도를 설정해 내보냅니다. 참고로 [인쇄] 모듈에서 직접 출력하는 경우에는 [인쇄] 모듈의 [인쇄 작업] 패널에서 [인쇄 선명하게 하기]를 설정합니다.
② 양
출력 선명도의 양을 설정합니다. 양은 [고], [표준], [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표준]을 선택합니다. 출력 선명도의 양을 세밀하게 설정하려면 Mogrify와 같은 [내보내기 플러그인]을 사용합니다.
| 메타데이터
내보낼 사진에 메타데이터 포함 여부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원본 사진에 원래 저장된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추가로 입력한 저작권, 키워드, GPS 정보 등의 포함 여부도 설정합니다.
① 포함
내보낼 사진에 포함될 메타데이터의 범위를 정합니다.
[저작권만], [저작권 및 콘택트 정보], [카메라 및 Camera RAW 정보를 제외한 모든 정보], [모든 메타데이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 범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만], [저작권 및 콘택트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하단 옵션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사람 정보 제거
이 항목을 체크하면 얼굴 감지로 검색된 사진의 인물 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③ 위치 정보 제거
이 항목을 체크하면 [지도] 모듈에 등록된 사진의 GPS 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④ 키워드를 Lightroom 계층 구조로 쓰기
라이브러리 모듈의 키워드 목록 패널에 계층 구조로 구성된 키워드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 워터마크
내보낼 사진에 워터마크 포함 여부를 설정합니다. 사진에 워터마크를 넣어 저장하려면 [워터마크] 항목을 체크하고 우측 목록에서 워터마크를 선택합니다. 기본 워터마크로 저작권 메타데이터에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순 저작권 워터마크]가 있습니다. 이 워터마크는 사진 하단 왼쪽 모서리 부분에 표시됩니다. 또한, [워터마크 편집기]에서 만든 워터마크를 사전 설정으로 등록해 놓으면 이 목록에서 선택해 사진에 넣을 수 있습니다.
워터마크
사진에 워터마크를 넣으려면 이 옵션을 체크하고 드롭다운 메뉴에서 단순 저작권 워터마크를 선택하거나, 워터마크 편집기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워터마크 사전 설정을 선택합니다.
| 후처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사진이 저장된 후, 해당 사진에 대해 별도로 처리할 일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PSD 파일로 저장된 파일을 포토샵으로 바로 열어 편집하려면 [내보낸 후] 드롭다운 메뉴에서 [Adobe Photoshop] 2020에서 열기]를 선택합니다.
① 내보낸 후
내보내기가 끝난 후, 실행할 프로그램을 지정합니다.
[탐색기에 표시] 또는 [파인더에 표시]를 선택하면 윈도우의 탐색기 또는 맥의 파인더로 내보낸 사진이 저장된 폴더를 바로 열어줍니다. [Adobe Photoshop 2020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내보내기가 끝나면 포토샵이 실행되고 내보낸 사진을 불러와 곧바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아래 [응용 프로그램] 항목이 활성화되고 [선택] 버튼을 클릭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찾아 연결할 수 있습니다. [Export Actions 폴더로 바로 이동]를 선택하면 탐색기 또는 파인더로 [Export Actions] 폴더를 열어줍니다. 이 폴더에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단축 아이콘(바로가기)를 복사 또는 만들어 놓으면 [내보낸 후] 드롭다운 메뉴에 표시됩니다.
② 응용 프로그램
[내보낸 후] 드롭다운 메뉴에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활성화됩니다.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연결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찾아 선택해 연결해줍니다.
② 응용 프로그램
[내보낸 후] 목록에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활성화됩니다.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연결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찾아 선택해 연결해줍니다.
현상한 사진을 저장하는 '내보내기'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현상한 사진을 저장하는 '게시 서비스'와 '내보내기'의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내보내기'를 실행하는 여러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내보내기' 대화상자의 구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내보내기' 대화상자의 옵션 설정에 대해 알아봅니다.
Version History
2020.05.01 포스팅
2020.08.14. 내용 수정 및 이미지 추가
ⓒ 2020 Written by Jusanj. All rights reserved.
* 본 문서는 주산지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주산지와의 협의 없이 무단으로 일부 및 전체를 복사, 인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내용으로 2차적인 강의를 하실 수 없습니다.
Today 0,
Yesterday 0,
Total 22
|
|||||||
---|---|---|---|---|---|---|---|
![]()
2020-08-10 05:43:26
Aug.10 ![]()
2020-08-10 05:40:20
Aug.10 ![]()
2020-08-10 05:35:10
Aug.10 ![]()
2020-08-10 05:28:53
Aug.10 ![]()
2020-08-10 05:23:29
Aug.10 ![]()
2020-08-10 05:15:27
Aug.10 ![]()
2020-08-10 05:10:20
Aug.10 ![]()
2020-08-10 04:50:44
Aug.10 ![]()
2020-05-01 19:54:15
May.01 ![]()
2020-05-01 19:28:54
May.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