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능
디헤이즈(Dehaze) 기능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라이트룸이 6/CC 2015로 버전이 업데이트이 되고 HDR, 파노라마, 안면인식 등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얼마 후, 어도비 CC 제품들이 대거 2015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ACR(Adobe Camera RAW)도 9.1로 업데이트 되었는데 라이트룸도 6.1/CC 2015 버전으로 함께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 때 디헤이즈(Dehaze)라는 기능이 살짝 추가되었습니다.
 
다음 화면처럼 [효과] 패널에 [디헤이즈] 슬라이더가 포함되었습니다. [디헤이즈] 슬라이더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라이트룸을 6.1 또는 CC 2015.1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 추가됩니다.
 
 
 
만일 디헤이즈 슬라이더는 표시는 되는데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프로세스 엔진을 2012 이상으로 설정해주어야 활성화됩니다.
 

 
라이트룸 7.3 버전 부터 [디헤이즈] 슬라이더가 [기본] 패널의 [외관] 섹션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자, 새로 추가된 디 헤이즈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 디헤이즈(Dehaze)란?
 
디헤이즈는 헤이즈(Haze)를 제거한다는 말로 헤이즈 즉, 안개, 연기 등으로 피사체가 흐릿하게 가려졌을 경우 이를 제거하여 선명하게 하거나, 역으로 헤이즈를 더 증가 시켜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렌즈 필터 중에 Haze 또는 Dehaze 필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라이트룸의 디헤이즈 효과는 헤이즈가 있는 사진에서는 헤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헤이즈가 없는 사진에서는 헤이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진은 헤이즈가 없는 맑은 날에 찍은 사진인데, 라이트룸의 헤이즈 기능으로 헤이즈를 추가한 것입니다.
 
 
 
그럼 실제 헤이즈가 있는 사진에서 헤이즈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알아 볼까요?
 
 
 
|  헤이즈 제거하기
 
자, 그럼 헤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음 화면은 바닷가에 짙은 안개가 낀 풍경을 찍은 사진의 RAW 파일 원본입니다. 가시거리가 10m 정도로 매무 짙은 안개였었습니다. 
 
 
 
[효과] 패널에서 [디헤이즈]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조절합니다. 안개가 겉히는 듯 피사체가 뚜렷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피사체가 뚜렷해지면서 채도와 콘트라스트(명암대비)가 올라갑니다.
 
 
 
피사체를 더 뚜렷하게 하려고 [디헤이즈] 슬라이더를 더 높게 조절하면 피사체는 뚜렷해지지만 채도와 콘트라스트가 너무 높아져 현실감이 떨어집니다. 

  !주의 - 디헤이즈를 조절할 때에는 사진의 채도와 콘트라스트을 보면서 디헤이즈를 조절해야 합니다.
 
 
디헤이즈를 조절한 후, [기본] 패널에서 [노출]과 [대비]를 조절합니다. 그 이유는 디헤이지를 조절하면서 사진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명암대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출은 밝게 조절하고, 대비는 낮게 조절하여 원본과 비슷하게 맞춥니다. 만약 [디헤이즈] 값을 필요 이상으로 높게 조절했을 경우 [기본] 패널에서 [채도]도 함께 낮춥니다. 다음 화면은 디헤이즈 기능을 적용한 뒤, [기본] 패널에서 [노출], [대비], [채도]를 추가로설정한 것입니다.
  
 
 
헤이즈를 꼭 제거해야 하는 것도 사진을 살리는 방법이지만 헤이즈를 더 짙게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 [디헤이즈] 슬라이더를 왼쪽으로 조절하면 해이즈가 점점 증가해 피사체를 흐릿하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의 - 비네팅이 있는 사진에서 디헤이즈 효과를 적용하면 비네팅이 강조됩니다. 이 비네팅은 렌즈 교정 기능으로 완전히 제거가 되지 않습니다. 

Close Menu
It's transparent.
Adjust the opacity to set the color.
Color
Opacity
Color format
Color